1. 개별분석
1)의의
- 대상부동산의 개별적 요인을 분석하여 최유효이용을 판단하고 가격을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.
- 감정평가에서 중요시되는 부동산의 가격은 최유효이용을 전제로 하여 파악되는 가격을 기준으로 해당 부동산의 최유효이용을 판정하기 때문이다.
2)지역분석과 개별분석의 관계
- 지역분석이 선행되고 결과에 따라 개별분석이 행해진다.
- 지역분석은 표준적 이용을 명확히 하고, 개별분석은 개별요인을 분석하여 최유효이용을 판정하는 것이다.
- 지역분석을 하여 인근지역의 가격수준을 파악하고, 그 중에 개개 부동산의 가격을 판단하여야 한다.
- 개별분석은 부분적·국지적인데 비하여 지역분석은 전체적·광역적인 개념이다.
- 개별분석은 균형의 원칙과 관련이 있고, 지역분석은 적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※지역분석과 개별분석※
지역분석 | 개별분석 | |
순서 | 선행분석 | 후행분석 |
범위 | 대상지역에 대한 전체적·광역적·거시적분석 | 대상부동산에 대한 부분적·국지적·미시적·구체적 분석 |
기준 | 표준적이용 | 최유효이칙 |
가격관련 | 가격수준 | 가격 |
원칙 | 적합의 원칙 | 균형의 원칙 |
2. 부동산가격(가치)의 제 원칙
1)의의
- 부동산의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어 유지되는지 법칙성을 찾아 평가활동의 지침으로 삼으려는 행동기준이다.
2)부동산가격(가치)의 제 원칙 = 부동산평가의 원리
㉮시간의 원칙
-변동의 원칙(변화의 원칙): 부동산의 가격도 일반재화와 마찬가지로 가치형성요인에 따라 인과관계에 변동해서 형성된다는 원칙이다.예측의 원칙, 최유효이용과 관련되어 있으며 감정평가에 있어서 기준시점을 명확히 하는데 시점수정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.
-예측의 원칙(기대의 원칙): 부동산의 가격이 장래의 수익성이나 쾌적성에 대하여 예측의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는 원칙이다. 예측의 원칙에 대한 부동산의 가치란 장래 기대되는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이라 할 수 있다. 변동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㉯내부의 원칙
-균형의 원칙(비례의 원칙): 부동산의 유용성(수익성, 쾌적성)이 최고로 발휘하기위해서는 내부구성요소의 결합상태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. 기여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-기여의 원칙(한계생산의 원칙): 부동산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기여하여 부동산 전체의 가격이 형성된다는 원칙이다. 부동산의 추가투자시 적부판단에 가장 유용하게 이용되는 가치원칙이다. 수익체증·체감의 원칙, 균형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-수익체증·체감의 원칙: 부동산 수익의 한계점은 구성요소의 균형을 찾는데 중요하며 어느 부분의 투자가 부동산의 전체 수익에 기여하였으며 투자의 한계점을 제시하는 지침이 되기에 기여의 원칙, 균형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-수익배분의 원칙(잉여생산성의 원칙): 토지·자본·노동의 각 생산요소에 위하여 발생하는 총수익을 분배하고 분배된 몫 이외의 잔여액(잉여생산성)도 정당하게 배분되어 토지에 귀속된다는 원칙이다. 기영의 원칙, 수익체증·체감의 원칙, 균형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 감정평가활동과의 관계에서는 수익방식 중 토지잔여법, 건물잔여법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.
★ 추가투자의 적부판단과 관련이 있는 원칙★
-기여의 원칙, 수익체증·체감의 원칙, 균형의 원칙, 수익배분의 원칙
3)외부의 원칙
-적합의 원칙(조화의 원칙): 부동산의 입지와 인근환경의 영향을 고려한다는 원칙으로 부동산의 유용성(수익성, 쾌적성)이 최고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부동산이 속한 지역의 환경에 적합해야 한다는 원칙이다. 최유효이용의 원칙, 경쟁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-외부성의 원칙: 대상부동산의 가치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원칙이다. 대상부동산과 주위환경의 조화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적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-경쟁의 원칙: 초과이윤이 경쟁을 야기시키며 경쟁은 결국 초과이윤을 감소 또는 소멸시킨다는 원칙이다. 부동산의 가격도 경쟁에 의해 결정되며 경쟁으로 초과이윤이 소멸되고 대상부동산은 그 가격에 적합한 가격을 갖게 되는 원칙을 말한다. 대체의 원칙, 수요·공급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.
4)기타원칙
-수요·공급의 원칙: 부증성의 특성으로 제악을 받지만 부동산가격도 수요와 공급의 상호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는 원칙이다.
-대체의 원칙: 부동산의 가격은 대체가능성 있는 2가지 이상의 재화가 존재할 때 그 재화의 가격은 상호 영향으로 연관되어 이루어진다는 원칙이다. 감정평가 3방식(원가방식, 비교방식, 수익방식)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.
-기회비용의 원칙: 기회비용이란 어떤 대안을 선택함으로 인해 포기한 다른 대안들 중 최선의 것으로 어떤 투자대상의 가치평가를 그 투자대상의 기회비용에 의해 평가한다는 원칙이다.
5)최유효이용의 원칙
-의의: 가장 중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부동산에만 적용되는 원칙으로 부동산가격의 최유효이용을 위해 파악되는 가격을 표준으로 형성한다는 원칙이다.
-최유효이용이란 객관적으로 통상의 이용능력을 가진 사람이 부동산을 합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최고·최선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.
-최유효이용의 근거는 용도의 다양성에 있다. 즉 최유효이용이 표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.
-최유효이용은 대상부동산을 합리적,합법적으로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물리적 채택가능성이 있어야 한다.
-채택 가능성이 있는 대안 중에 최고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.
6)일반재화의 가격원칙과 부동산가격원칙의 관계
-부동산 가격에만 적용되는 원칙: 적합의 원칙, 외부성의 원칙, 최유효이용의 원칙
-일반재화의 가격원칙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칙: 기여의 원칙, 대체의 원칙, 수익체증·체감의 원칙
'부동산학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학개론]부동산가격이론 (0) | 2023.06.08 |
---|---|
[부동산학개론]부동산가격이론 (0) | 2023.05.24 |
[부동산학개론]부동산감정평가의 기초 (0) | 2023.05.23 |
[부동산학개론]29회 핵심요약 (0) | 2023.05.19 |
[부동산학개론]제29회핵심요약 (0) | 2023.05.11 |